식물 박쥐란을 알게 된 후부터 푹 빠져서 하나씩 들이다 보니 종류별로 세 화분을 키우게 됐다. 비푸카텀과 파나마, 그리고 알시콘. 실내에서 자라고 있는 비푸카텀과 파나마. 늦가을쯤부터 잎이 나오는 속도가 늦어지더니 겨울이 되니 영양엽 위주로 자라고 있다. 아직 완전히 갈변되지 않은 영양엽이 달려있는데도 새 영양엽을 다시 키우는 중. 반대편에서도 역시 영양엽을 키우고 있다. 실내로 들였기 때문에 추위와는 상관이 크게 없는 것 같은데 왜 날씨가 쌀쌀해지면 이렇게 영양엽을 키워내는 걸까? 신기하고 궁금하다. 햇빛 부족이 아닐까 싶기도 했지만 창가 근처에서 기르고 있기에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다. 영양엽이 자라다 떨어지고, 자라다 떨어지고를 반복했던 이 녀석도 한 번 영양엽을 띄우더니 그 뒤로는 쑥쑥 키워낸..
스킨답서스는 많은 가정에서 기르는 식물로, 키우기 쉬우면서도 예뻐서 인기가 많다. 흙에 심어서도 많이 기르지만 수경 재배로 기르는 경우도 많다. 수경 재배를 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정도가 있다. 1. 흙에 심어진 스킨답서스의 흙을 제거하고 뿌리째 물에 꽂아두는 방법 2. 줄기를 잘라 심어 새 뿌리를 내리는 방법. 두 가지의 방법 중 어느 방법을 택해도 크게 상관은 없지만 흙을 제거하고 물에 뿌리째 심는 경우에는 손이 더 많이 간다. 흙이 완전히 없어져야 하기 때문에 첫 세척 후에도 여러 번 물을 갈아줘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줄기를 잘라서 수경재배 화분을 만들 경우, 잘라서 물에 넣고 기다리기만 하면 되니 더 간편해서 나는 줄기를 자르는 방법을 선호하는 편이다. 스킨답서스 줄기로 수경재배 하는..
예전에 친구가 한 번은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우리 집은 화분을 들여놓기만 하면 죽어." 왜 그럴까 하고 의문을 표하자 친구는 답답하다는 듯 이렇게 대답했다. "나도 왜 죽는지 모르겠어. 햇빛도 보여주고 물도 많이 줬는데. 이제 화분은 들여놓지 말아야겠어." 바라만 봐도 기분이 좋아지는 식물. 화원이나 마트를 지나며 나도 화분 하나 들여놓을까 싶다가도 잘 키울 자신이 없어 다시 발길을 돌리는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봤음직한 일이다. 물을 주고 햇빛을 보여줘도 식물이 죽는 이유는 뭘까? 햇빛을 보여주고 식물에게 물을 주어도 식물이 죽는 이유는 간단하다. '식물에게 필요한 것을 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목이 마른 식물에게는 물을, 햇빛이 그리운 식물에게는 햇빛을, 흙이 젖어 뿌리가 답답한 식물..